
핵심 “선정리·선합의·선공유”가 진짜 신속을 만든다. 이 문서는 쟁점 압축 → 기준 합의 → 정보 동시화 순서로 추진 리듬을 잡는 법을 시각적으로 정리했습니다. 😊
1) 제도 개요 & 등장 배경 타임라인 🤔
목표: 초기부터 부서·위원회 요구를 동시화해 재심의 최소화. 기대: 예측 가능한 일정, 공공성+사업성 균형.

2) 행정·제도 병목 퍼널 📊
병목 4대 유형: 심의 중복 · 기준 해석 차 · 자료 포맷 불일치 · 특례 판단 지연

요구-수치-검증을 같은 표에 적시해 일괄 제출했더니,
심의가 1라운드로 마무리됐고 일정 지연을 회복했습니다.
3) 주민 갈등 구조: 버블 차트 & 해결 카드 🔍
갈등 촉발 5요소: 분담금·속도·임대비율·설계변경·보상범위. 공통 원인: 정보의 시차와 용어 난해성.

전제(공사비·이자·분양가) 공개 + 가구별 민감도(±5/10%).
누가·언제·무엇을 결정? 월간 일정 공개.
루머 vs 팩트 상시 갱신, Q&A 반복도↓.
질의 중복이 줄고, 반대 측과의 공개토론에서 공통분모가 넓어져 표결 지연이 해소되었습니다.
참여율도 체감상 높아졌습니다.
4) 금융·시장 변수: 3×3 시나리오 매트릭스 📉
변수: 금리·공사비·분양가. 보수적 시나리오로 NPV/IRR 체크, 착공 전 분양성 점검을 마일스톤화.
| 공사비 ▼ / 금리 ▶ | 낮음 | 보통 | 높음 |
|---|---|---|---|
| -5% | IRR 양호 | 보통 | 주의 |
| 기준 | 보통 | 경계 | 위험 |
| +7% | 경계 | 위험 | 재검토 |

착공 전 분양성 점검을 마일스톤에 넣자 PF 본심사 통과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5) 주체별 액션 플랜 🧭
- 쟁점리스트 사전 승인
- 위원회 순서 고정
- 특례 자문 정례화
- 분담금 카드뉴스
- 의사결정 캘린더 공개
- 소문 백서 운영
- 3×3 금융 시나리오
- 설계 VE 조기화
- 데이터 표준화·이력관리
마무리: 신속의 조건은 ‘동시화’
쟁점·기준·정보를 동시에 다루면 속도가 나온다. 오늘의 인포그래픽을 그대로 체크리스트로 쓰면 다음 심의에서 체감 변화가 생깁니다.
핵심 요약
자주 묻는 질문(FAQ)
Q1. 신속통합기획, 무엇부터 착수할까요?
1주차에 쟁점 10~12개만 추려 책임부서와 기준을 확정하세요. 같은 주에 ‘요구-조치-결과’ 표를 만들어 보완 상충을 원천 차단합니다. 이후 모든 요청은 이 표에 매핑해 관리하면 재심의가 줄어듭니다.
Q2. 주민 갈등이 커졌습니다. 단기 처방은?
분담금 전제(공사비·이자·분양가) 공개 카드뉴스, 가구별 민감도 표, 월간 의사결정 캘린더, ‘소문 백서’ 4종 세트를 동시에 배포하세요. 반복 질문이 줄며 신뢰가 회복됩니다.
Q3. 행정 보완요구가 자주 바뀝니다.
문장형 요구를 표준 양식으로 전환하세요. 주체·근거·수치·검증·기한을 5열로 고정하고, 버전/날짜를 명시합니다. 공통 원데이터 저장소를 1개만 유지하면 반려·누락이 크게 감소합니다.
Q4. PF가 막힐 때 무엇을 보나요?
금리·공사비·분양가 ±구간의 3×3 매트릭스로 NPV/IRR을 동시에 확인합니다. 착공 전 ‘분양성 체크리스트’(수요지표·경쟁공급·청약지표)를 마일스톤화하면 본심사 통과 확률이 높아집니다.
Q5. 성공 구역의 공통분모는?
총괄PM 체계(월 2회), 판단기준표·보완 매트릭스, 소통 3종 패키지(카드뉴스·캘린더·백서), 3×3 금융 시나리오, 데이터 표준화. 이 다섯 가지가 일정 예측력과 갈등 완화의 핵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