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도시공감 스토리"입니다.
2025년 3월 26일,
영종도 인스파이어 리조트가 화제예요.
"라스베이거스를 영종도에?"라는 꿈으로 시작된
1조8000억 프로젝트의 숨겨진 이야기를 아시나요?
현장에서 수많은 도시계획을 다뤄본 경험으로,
8년간의 리조트 개발 스토리를 풀어냅니다.
이 여정의 주인공이 되어 함께 탐험해볼까요?
목차
1. 모히건의 도전과 도시계획 변경
여러분이 꿈꾸는 휴양지를 현실로 만든
영종도 인스파이어 리조트는
도시계획의 대전환에서 시작됐어요.
2016년, 모히건사가 모히건 투자로
인천공항 복합리조트를 제안하며
( ZDNet Korea, 2023.12),
영종도 IBC-III 구역(43만㎡)의 지구단위계획이
새로 수립됐죠.
2021년 3월 문화체육관광부가
도시관리계획 변경을 승인( 연합뉴스, 2021.03)하며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6조에 따른
도시계획시설(관광·휴양)이 지정됐어요.
IBC-III의 지구단위계획은
용도지역을 준공업지역에서 상업지역으로 변경하며
용적률을 약 250%에서 350%로 상향했어요.
용지계획은 공항 물류 중심에서 관광·상업 복합으로 재편됐고,
기반시설계획엔 도로 폭 확장(20m→30m),
공공주차장(3000면), 공원·녹지(약 5만㎡)가 추가됐죠.
도시관리계획에선 특별건축구역 지정으로
건축 높이 제한(50m→100m)이 완화돼
외국인 카지노 계획과
호텔 타워 건립이 가능해졌어요.
변경 항목 | 기존 | 변경 후 |
---|---|---|
용도지역 | 준공업지역(용적률 250%) | 상업지역(용적률 350%) |
용지계획 | 물류·공항 지원 | 관광·상업 복합 |
도시계획시설 | 공항 지원 시설 | 관광·휴양(카지노·MICE) |
건축 규제 | 높이 50m 제한 | 100m 허용(특별건축구역) |
이 변경으로 무엇이 가능해졌을까요?
용적률 상향과 높이 완화로 연면적은
약 20만㎡에서 30만㎡로 늘었고,
사업성은 연 매출 잠재력 2000억 원에서
3000억 원 이상으로 증가했어요(도시계획 추정).
도시행정 관점에서 이는
공공성과 경제성을 맞바꾼 결정으로,
지역 활성화와 관광객 유입(연 100만 명 예상)이
사업성을 뒷받침했죠.
핵심! 모히건이 선택한 인천공항 리조트 비밀은
도시계획의 과감한 재구성이었어요.
맨 위로 이동
2. KCC 철회, 운명의 갈림길
개발 과정은 순탄치 않았어요.
초기 파트너 KCC가 지분을 철회하며(KCC 지분 철회)
위기가 닥쳤죠(연합뉴스, 2025.02).
마치 교복 단추가 떨어진 듯 흔들렸지만,
모히건은 MGE 100% 출자로 돌파구를 열었어요.
KCC 철회 후 인스파이어 운명 변화는
도시행정에서 자주 보듯,
리스크를 기회로 바꾼 사례예요.
단계 | 상황 |
---|---|
초기 | 모히건+KCC 협력 |
변화 | KCC 철회, MGE 단독 |
한화건설의 1000억 원 전환사채 참여(getnews.co.kr, 2021.11)도
큰 힘이 됐어요.
맨 위로 이동
3. 사업 규모와 설계 마스터플랜
영종도 인스파이어 리조트의 규모는 압도적이에요.
총 46만1661㎡(축구장 64개)에 1단계 사업비만
1조8000억 원(전자신문, 2023.04).
설계 마스터플랜은 3개 타워(포레스트·썬·오션, 1275실),
1만5000석 아레나, 유리돔 워터파크(스플래시 베이),
외국인 카지노(150개 테이블)로 구성돼요
(경향신문, 2023.11).
시설 | 규모 |
---|---|
호텔 | 1275실, 3개 타워 |
카지노 | 150개 테이블, 700대 슬롯 |
꿀팁! 영종도 리조트 건설 중 숨겨진 에피소드는
안전 규제로 설계 변경이 반복된 과정이에요.
맨 위로 이동
4. 수익 모델과 발전 가능성
인천공항 복합리조트의 수익 모델은
외국인 카지노 계획과 MICE(회의·관광) 중심이에요.
2024년 매출 2190억 원 중 카지노가
1079억 원(경향신문, 2025.03)을 차지했죠.
하지만 중국 관광객 감소로 한계가 드러났어요.
발전 가능성은 2046년까지 4단계 확장(6조 원)과
한화호텔 운영의 안정성에 달려 있어요.
수익원 | 현황 |
---|---|
카지노 | 1079억 원(2024) |
호텔·MICE | 1111억 원(2024) |
도시행정가로 보자면,
인스파이어 1조8000억 투자 뒷이야기는
글로벌 관광 허브로의 잠재력을 보여줘요.
맨 위로 이동
마무리:
영종도 인스파이어 리조트의
8년은 도전과 회복의 드라마예요.
도시계획 변경부터 리조트 개발 스토리까지,
여러분도 이 가능성을 느꼈나요?
다음 편에서
영종도 인스파이어 리조트 개발 초기 비하인드를 넘어
현실과 투자 전략을 다룰게요.
의견을 댓글로 나눠주세요!
[부동산 개발] 인스파이어: 제2편-2025년 인스파이어 리조트 현실: 1564억 적자 딛고 투자 기회 잡는
안녕하세요, "도시공감 스토리"입니다.2025년 3월, 인스파이어 리조트 적자가 화제예요."1500억 적자 후 반전 드라마?"라는 질문 속, 2025년 운영 현황을 들여다보며 베인캐피탈 인수 후 변화를 분석
dotorynet.com
'부동산 이야기 > 부동산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개발] 인스파이어: 제2편-2025년 인스파이어 리조트 현실: 1564억 적자 딛고 투자 기회 잡는 법 (13) | 2025.03.26 |
---|---|
[부동산 개발] 2025년 현대차 GBC 투자 대박 예고: 삼성동 부동산 상승 열쇠와 수익 전략 (2) | 2025.03.23 |
[부동산 개발]홈플러스: 제3편-2025년 목동 부동산 대변신: 홈플러스 부지 랜드마크 개발 착수와 투자 기회 (1) | 2025.03.21 |
[부동산 개발]홈플러스: 제2편-부동산 매각으로 부채를 갚을 수 있을까? - 홈플러스의 탄생과 몰락 (4) | 2025.03.10 |
[부동산 개발] 홈플러스: 제1편-삼성테스코 홈플러스의 탄생과 몰락(도시계획 속 숨겨진 이야기) (3) | 2025.03.10 |